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ithography] 기본 개념

반도체 공정

by semimaestro 2025. 1. 28. 19:51

본문

포토 공정 설명에 앞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용어와 개념들을 간단히 살펴볼텐데요

 

먼저 노광기술의 발전방향부터 알아보죠!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반도체 패턴을 찍어내는 노광기술의 미세화의 중요성도 대두되었어요

*node: dimension중 가장 작은 크기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용되는 광파장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죠 

이는 더 작은 패턴을 위해 해상도가 향상된 효과랍니다

또한 finfet 구조와 같이 channel을 여러면으로 둘러싸는 3D구조가 나오면서 apsect ratio가 큰 구조가 요구되었고 이에따라 DOF도 중요해졌어요 => 박막증착, diffsuion, etch 과정에 photo공정이 필수적이기에 그만큼 중요하다는걸 알 수 있겠죠?

 

이제 이론적인 측면에서 알아야 할 것들을 살펴볼거에요 

 

1) 빛

: 공간을 차지하는 물질과 공간을 이동하는 전자기파 

 

전기장과 자기장은 수직을 이룬 형태로 형성되어있으며 이 전자기파가 물질을 만나면 각각 다른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걸 맥스웰이 알아냈네요 

 

 

 

 

- photon: 빛의 입자적 특성으로 양자, 무게가 없고,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있는 것 

- Radiation: 전자기파의 기원으로, 진공에서는 광속을 가지지만 파장에 다라 에너지는 다를 수 있음

- 전자기파인 빛이 다른 물질을 만났을때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요?

입사된 빛이 물질의 원자와 상호작용 -> 원자 +,- 분산 (극성분리) -> 원자 진동 유발 -> 입사 진동수와 동일하게 전자기파의 radiation 방사 

 

- 굴절률: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 물질에서의 빛의 속도  ( >1 )

 

2) 빛의 전파

굴절 이론: 빛이 주변효과를 포함해 어떻게 전파되는지 묘사 

-> Hyugen의 이론 채택  = " 모든 파면은 점으로 이루어진 광원의 집합체다."

-> 각각의 빛은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point source의 합으로 나타난다 ! 

 

- 두 점광원의 경로차에 의해 간섭효과 발생으로 보강간섭, 상쇄간섭이 교대로 나타나면서 회절 패턴을 형성

- 파장이 aperture보다 크면 더 넓은 각도로 퍼지기에 wafer에 패턴 조사가 제대로 되지 못함 

 

 

 

 

 

 

3) Resolution (해상도)

 : 마스크 이미지를 웨이퍼로 전사시키는데 얼마나 작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지 

R = 0.5*(파장/NA) => 값이 작을수록 좋음

*NA = numerical apeture , 개구 수 => 노광장비 내에 존재하기에 무한정으로 커질 수 없음 

- 렌즈 크기가 유한하기에 회절된 모든 빛들을 모아서 wafer에 focus 불가 => mask image loss

 

4) DOF (Depth of Focus)

: 어느정도 높낮이까지 허용되는지 

z = 파장/(NA)^2  => 값이 클수록 좋음 

 

resolution과 dof는 trade-off관계에 있음 => 고배율에서는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움 

 

5) k값 (공정변수- 공정방식에 따라 조절되는 값)

k1 감소: OET(PSM, OAI)

k2 증가: OAI, FLEX, CMP 

 

6)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마스크에 있는 이미지가 웨이퍼에 전달되는 능력 

*aerial image: 웨이퍼 상에 전달되기 바로 전 공간에서 결성되는 이미지 

 

 0, 1, -1 차광만 collection -> high order diffraction으로 잘려 없어짐 

-> 0,1의 step function 형성 

-> if aperture, lens 무한히 크면 wafer상에 ideal 하게 나타나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기에 MTF<1

 

MTF = (Imax-Imin) / (Imax+Imin)

-> (aperutre>파장) 파장 길이가 감소하면 회절이 감소하면서 MTF 값 증가 : 원래 마스크에 있던 이미지와 거의 유사하게 wafer 상에 전달 

 

 

 

 

7) Spatial Coherence

S = light source diameter (s) / condenser lens diameter (d)

S ~ 0.5-0.7

 

점 광원의 경우: 평면파도 입사

*condenser lens: 마스크 전에 쓰는 렌즈 

 

 

 

실제로는 점광원이 아니기에 위치에 따라 마스크에 대해 입사각도가 달라짐 

 

 

 

 

 

여기까지 리쏘그래피를 시작하기전 알아야할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해서 알아봤고요 

다음부터는 본격적으로 리쏘에 관한 내용들을 다뤄볼게요 

'반도체 공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t] Test가 무엇인가?  (1) 2025.01.31
[lithography] 구성요소 (exposure tool, mask, PR)  (0) 2025.01.30
[oxidation] 산화막 활용  (0) 2025.01.13
[oxidation] oxide growth kinetics  (0) 2025.01.13
[oxidation] oxide 설명  (0) 2025.01.13

관련글 더보기